|
공연평
|
새로운 춤의 시대를 열기 위한 작은 시도
- 표상만&최원석·김종덕·김윤수·신승민
|
* 「얼라이브 2015(ALIVE 2015)」(12월18일 오후7시 인천예술문화회관내 인천시립무용단 대연습실)
어쩌면 국공립예술단체에 근무하는 단원들도 또 하나의 공무원이라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다. 우리사회에서 ‘공무원’이란 취업적인 면에서는 부러움의 대상이면서도 행정적인 면에서는 수동적이며 변화가 더딘 폐쇄된 사회라는 인상이 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면에서 국공립 예술단체란 창조와 수구(守舊)의 사이에서 애매한 위치에 있다고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국공립예술단체야말로 선도적 역할을 통해 그 어느 사설단체보다 예술계에 더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공립 무용단도 엄연히 창작 집단임을 감안한다면 안정된 환경에서 안주하지 않고 정체성을 더욱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첫 시도라는 점에 큰 관심이 몰렸다.
이번 「얼라이브 2015」 공연은 공립단체인 인천시립무용단(예술감독 김윤수)을 주축으로 제이제이브로(예술감독 표상만), 천안시립무용단(예술감독 김종덕), 대구시립무용단(예술감독 홍승엽) 등 4개의 무용단들이 인천에 모여 각자의 작품을 초대관객들에게 선보이는 형식으로 가졌다. 전석 모두 초대석이고 보통공연보다 한 시간 빨리 시작한 7시 공연이었음에도 연습실에는 일찌감치 관객들로 꽉 차있었다.
첫 작품은 「세일즈맨의 죽음」을 한국식으로 해석한 느낌이 드는 제이제이브로의 『훌륭한 사람(The Great Man)』(공동안무 표상만&최원석)으로 표상만의 솔로였다. 삶의 무게의 표현으로 택한 서류가방을 머리에 얹고 걸어가는 동작에서 한국적인 굴신과 디딤새가 특히 돋보였다. 천안시립무용단 단장 김종덕이 단원들과 함께 호흡한 『러브 이즈… 아이(Love is… I)』는 사랑에 대한 여러 가지 모습을 담았다. 결국 조건 없이 주는 아가페의 사랑을 부각시키며 어머니의 사랑을 통해 표현한 수화의 동작이 가미된, 연말의 분위기에 적절한 소품이었다. 인천시립무용단의 『네 명의 무용수를 위한 거문고 산조』는 몸으로 음표를 그려냈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줄의 튕김에 맞춘 경쾌하고 역동적인 작품으로 앞의 작품들이 주었던 진지한 분위기를 전환시켰다.
유일하게 현대춤 단체인 대구시립무용단은 작품 성격 때문에 객석과 무대의 자리를 바꾸어 「얼라이브 2015」를 위한 신작 『넋두리』(안무 대구시립무용단 단원 신승민)와 『코끼리를 보았나』의 2부 격인 『코끼리를 보았다』의 부분을 발췌하여 한국창작춤과 한국현대춤의 동시대성과 차이를 비교해보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김윤수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은 공연 후, 「얼라이브」 공연이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을 암시하는 상징물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2016년의 개최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인천을 제외한, 이번 공연에 참가한 지역 중 한 곳이 가져가게 될 것이다. 무대미술가 신재욱에 의해 디자인된 상징물은 한 기둥에 이번 공연에 참가한 공립단체들의 이름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방향 안내판이 붙어있는 형태로 몸집은 제법 크지만 해체가 가능하여 다음의 개최지로 이양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있다 한다. 이 상징물에 대해 김윤수 단장은 “사실, 춤계가 많이 방향성을 잃고 힘들어진 것은 사실이다. 지금 그걸 스스로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에게 다른 생각의 가면을 씌우고 있어서는 끝끝내 공멸하게 될 것이니, 모두가 새로운 춤의 시대를 열기 위해서 많은 단체의 수장으로 계신 분들과 단원들이 목하 고민 하에 새로운 시대를 열고 싶어 하는 욕구들이 있다. 그래서 긴 역사 속에서 우리의 한국춤이 2015년 이후까지 오게 되었다라고 하면 앞으로는 또 어떠한 발걸음을 내딛으면서 어떤 시대로 갈 것인지 고민이 남겨져 있다. 그래서 이러한 작은 변화, 또 시도들을 통해서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해답이 있지는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시작한 2015 얼라이브의 상징물이다”라고 공연의 취지와 조형물에 대한 디자인 의도를 밝혀 많은 관객들로 부터 큰 공감과 호응을 불러냈다. 따라서 이번 공연은 무용단끼리의 배틀 형식이 아니라 하나의 결속력을 다지는 장이라는데 그 의의를 두며 작품에 대한 평은 그다지 의미가 없다 말하고 싶다.
김 예술감독은 이어 이번 참가 단체가 각각 두 단체를 초청하여 내년에는 12단체가 공연하는 식의 “다단계(네트워크마케팅) 방식을 사용할 것”이라고 하여 관객들에게 즐거움과 동시에 기대를 증폭시켰다. 역사를 훑어봐도 세상에 영향을 준 큰 변화는 작은 움직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이러한 시도가 꾸준히 이어지길 바라며 더 나아가 무용계가 한마음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교류와 화합의 원조가 되길 바란다.
|